Cabin Class
- Premium First : 프리미엄 일등석
- First : 일등석
- Business : 비지니스석
- Premium Economy 프리이엄 일등석
- Economy (Coach) : 이코노미석
PassengerType (H/FD, H/FQP, H/FQ)
- ADT : 성인
- CNN , CHD : 어린이 / 출발일 기준 만 2세 ~12세 미만
- INF : 유아 / 출발일 기준 생후 7일 이상 ~ 만 2세 미만
- LBR : 노무자 LABORER/WORKER
- VFR : VNN VNF 방문(노무자와 같이 쓰기도 함) VISIT FRIENDS/RELATIVES
- STU : 학생
- ITX : Tour (INN , ITF)
- YTH : Youth
- SRS : Senior citizen
성별 Title
- MR : 성인 남성
- MS : 성인 여자 (미혼, 기혼 둘다 가능 )
- MRS : 기혼여성 (MS 라고 해도 큰 상관없음)
- MISS : 12세 미만 여자 아이 (*주의 성인여성은 MISS 가 아님)
- MSTR : 12세 미만 남자 아이 (아동(어린이)는 MR, MS 써도 상관 없음)
- INT : 만 24개월 미만의 유아 (1G는 MSTR MISS 로 사용)
passenger Contact Information
- SSR CTCE : Passenger’s Email (At Sign “@” to be replaced by “ // “ double slash) 예) mymail//korea.co.kr
- SSR CTCM : Passenger’s Mobile 예) 82 10 2525 1111
- SSR CTCR : Passenger refused to provide his details
여정
- OW : 편도
- RT : 왕복
- OJ : 오픈조 (중간에 비행 아닌 여정)
- SOTO : 해외출발 여정 (한국에서의 정의)
- SITI = Sold Inside Ticketed Inside
- SITO = Sold Inside Ticketed Outside
- SOTI = Sold Outside Ticketed Inside
- SOTO = Sold Outside Ticketed Outside
- SPA(Special Prorate Agreement 특별운임협정) – 취약한 항공 노선 보완하는 요금
- MCT : 최소환승소요시간, Minimum Connection Time)
- G.I.T (Group inclusive tour) : Escort 가 동행하는 여행.
- F.I.T (Foreign independent tour) : 개인 여행.
- INDV(Individual): 인디비 / 개인손님.
- ADD ON : 롱 포지션여행에서 세부 도시로의 연장된 여정에 적용한 요금.
- DP(DEPOSIT) : 디파짓 / 블럭좌석 판매에 여행사모객 실패에 따른 빈좌석 배상금.
- DUPE : 좌석이상으로 예약을 받는 경우.
- G.M.T : 영국 표준시 (한국은 +9)
- TRANSIT : 중간 경유지에 내려서 정비할때 까지 24시간 내로 같은 비행기로 다시 타고 가는 경우. 예) 타이항공 오전 비행기
- STOP OVER : 중간 경류지가 24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.
- Code Share : 동맹항공사사이 같은 노선에 대한 좌석공유.
- Voucher : 바우처 / 호텔 또는 항공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.
운임
- SPA: 특별정산협정. 항공사간에 특정구간에 상호합의된 금액으로 정산할 것을 정한 계약.
- Public Fare : 공시운임
- Private fare : 할인운임(특가요금)
- MSP : 공시운임에서 할인된 요금.
- AccountCode : 여행사 상용운임 할인 코드
- TOUR CODE : 여행사 실적을 추적을 위해 적용되는 코드
- ENDORSEMENT : 발권시 제반 사항
- NEGOTIATED FARE : 경쟁사 비행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면 COMM을 9~10% 주거나, 가격을 맞추어 파는 운임.
- Rule : 항공운임 예약/판매 규정
- OB FEE : 항공사허용 예외 카드결제시 부과 되는 수수료
- TASF : 여행사 발권 수수료
- Sunday rule : 주말의무체류조건(Saturday night stay requirment) ;목적지에서 토요일->일요일이 되는 24:00가 지나야만 다시 돌아 올 수 있는 조건
- AD (Agent discount ticket) : 여행사용 직원 할인 항공권
- AP (Advance Perchase) : 출발 며칠전에 발권조건 : AP7, AP14, AP30
- AUTH (AUTHORIZATION) : 할인 조건에 대한 항공사가 여행사에 대한 허가 (허가후 Tour code, Auth Number 발행)
- GRP (GROUP) : 단체
- GTR : 정부 SPECIAL 요금 (군판 등등).
- NUC : 항공운임 계산에 적용되는 기준 화폐단위.
- C/S, CONSOLE(Consolidate) : 그룹 GRP FARE 를 받기 위해 여행사끼리 TKT 또는 그룹을 합치는 경우.
- Component Unit: 항공권 가격 책정 시스템에서, “Component unit”은 특정 항공 요금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여정의 각 세그먼트(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단일 항공편)나 각각의 항공 서비스(예: 좌석 업그레이드, 추가 수하물 요금 등)는 개별 “Component units”로 볼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최종 항공권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 함께 고려됩니다.
- Pricing Unit: “Pricing unit”은 여러 “Component units”를 하나의 가격 책정 단위로 그룹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는 여러 항공편 세그먼트나 서비스가 하나의 요금 규칙에 따라 책정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왕복 항공권의 경우 출발 항공편과 귀환 항공편이 하나의 “Pricing unit”으로 취급될 수 있으며, 이에 따라 특정 요금 규칙이 적용됩니다. “Pricing units”는 복잡한 여정에서 여러 항공 요금을 통합하여 계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- Branded Fare : 항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항공 운임과 함께 패키지로 제공하여 타 항공사와 차별화를 추구하는 번들 운임입니다. 단순히 최저가 요금이 아닌 유료 좌석, 추가 항공 마일리지, 추가 수하물, 라운지 이용, 리무진 서비스 등 다양한 혜택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여행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줍니다.
규정 Rule
- NO-SHOW : 승객이 항공사에 사전 통보 없이 탑승하지 않는 경우
- GATE NO-SHOW : 탑승 수속을 완료하였으나 탑승구에서 항공기에 탑승하지 못한 경우
- CHANGES (변경) : 쿠폰(여정) 당 변경사항에 대한 수수료.
- CANCELLATIONS(환불) : 발권 티켓 취소에 대한 수수료.
- CHANGES/CANCELLATIONS (변경/환불) : 위 상황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의 수수료.
Commission (발권 수수료)
- Zero Comm : 여행사에 지급하는 판매/발권 대행 수수료 제로
- Full Comm : 홀세일 업체가 ATR 여행사에 항공권 판매가에 책정된 커미션(5%, 9%, 7%)을 모두 지급하겠다는 의미. (Shown Fare 기준으로 잘못된 표현)
- Net Comm : Full Comm 에 대한 잘못된 표현에 대한, 판매가 기준 컴미션으로 맞는 표현.
- Over Comm : Full Comm 보다 높은 요율의 커미션, 여행사를 대상으로 인센티브적 성격, 비수기때 한시적.
- Double Comm : 원래 정해진 커미션 2배.
- BSP Commission : BSP 에 가입되어 발권할 수 있는 여행사 기준 커미션
정산
- BSP : 발권이 가능한 대형 여행사.
- ATR : BSP 가 아닌 소형 여행사.
- ACM : 실수로 비싸게 발권한 금액에 대한 반환요청.
- ADM : 실수로 잘못 발권해서 항공사에 지급하는 경우.
- DSR : 매일 판매한 발권 손익, 판매량 정산작업.
- DEBIT : ACD,ADM 시 발생시 항공사가 여행사에 발행하는 지불요청 문서.
- ACH : Automated Clearing House 항공사가 전자 금융 시스템을 통해 자동 청구와 이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
항공사
- IATA :국제항공운송협회(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) / 안전 운항 강화 및 국제선 항공 운임을 결정하고 조정 권한
- LCC : Low-Cost Carrier 저가항공사
- FSC : Full-Services Carrier = Legacy Carrier
- PSS : 항공사 여객서비스 시스템 : 나비테어(아마데우스 자회사), IBS, SITA등
- DCS : 수속 카운터 시스템
- GSA : General Sales Agent 외국 항공사, 호텔, 리조트 , 크루즈, 골프등 총괄 대리점
- OAL : 국적기가 아닌 외국 항공사.
- THROUGH BOARDING : 쓰루보딩 / (일괄수속 서비스의 일부분) 이원구간 탑승권도 최초 출발 탑승수속 시 함께 발급받는 것을 의미한다. 인천-홍콩-파리 여정도 인천에서 탑승수속 시 전 구간 탑승권을 한꺼번에 발급받을 수 있다.
- THROUGH CHECK IN (일괄수속 서비스) : 최초 탑승 수속 한번으로 최종 목적지까지의 좌석 배정, 탑승권 발급, 수하물 탁송을 일괄적으로 처리해주는 서비스.
- Divert : 회항
- Reconfirm : 리컴펌 / 출발 72시간 전에 항공사에 전화 및 인터넷으로 예약 내용을 재확인.
GDS
- CRS : 항공권 예.발권 시스템
- EMD : 항공서비스 도큐먼트
- TID : 단말기 번호 (Terminal ID) / ARS Ksnet 결제후 결제 식별값
- MID : 여행사별 카드/현금영주증 온라인 판매자 식별번호 (Merchant Identification Number)
- DTP : 카드프로세싱에서 POS 번호 (Data Transfer Plan)
- MIDT (Marketing Information Data Tapes) : 항공사나 여행사 등 여행 산업 관계자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로, 주로 글로벌 유통 시스템(GDS)의 예약 정보를 기록한 것입니다. 이 데이터는 예약된 항공권의 수, 목적지, 예약 시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, 항공사들이 시장 동향을 분석하고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데 사용됩니다. MIDT 정보는 항공사들이 경쟁사와의 비교 분석, 수요 예측, 노선 계획 수립 등을 위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.
GDS시스템들 약자
- 1G 갈릴레오(Galileo) / 부킹엔진 API : uAPI
- 1V 아폴로(Apollo)
- 1J 엑세스(Axess)
- 1A 아마데우스(Amadeus)-> TOPAS SellConnect / 부킹엔진 API : MP
- 1S 세이버(Sabre) / 부킹엔진 API : BF
- 1B 아박쿠스(Abacus) /
- 1P 월드스팬(Worldspan)
ATPCO
- Optional Services Industry Sub Codes : https://www.atpco.net/sites/atpco-public/files/all_pdfs/Opt_Scvs_Industry_Sub_Codes_Online_C.pdf
한국에 있는 주요 국제공항의 3자리 IATA 코드
- 인천국제공항 (Incheon International Airport) – ICN
- 김포국제공항 (Gimpo International Airport) – GMP
- 김해국제공항 (Gimhae International Airport, 부산) – PUS
- 제주국제공항 (Jeju International Airport) – CJU
- 대구국제공항 (Daegu International Airport) – TAE
- 청주국제공항 (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) – CJJ
- 무안국제공항 (Muan International Airport) – MWX
- 양양국제공항 (Yangyang International Airport) – YNY
이들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요한 국제공항들로, 각각의 공항은 한국의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며 국제선과 국내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GDS 세팅관련
- 셀렉티브 억세스 : 다른 PCC에서 PNR 을 서로 볼수 있는 기능 (1P 에선 : 브릿지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