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gment Grouping

AirCreateReservationRsp 결과중 AirSegment- Group 번호 분석

Overview : The Origin Destination Grouping of this segment.

여러 개발사에서 사용하려고 했으나, AirCreateReservationRsp 결과값으로만 편도/왕복/다구간을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.

본사 설명 : https://support.travelport.com/webhelp/uapi/Subsystems/Schemas/Content/Schemas/AirCreateReservationRsp.html

AirSegment의 Group 속성은 해당 항공편 구간이 어떤 Origin/Destination 그룹에 속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입니다. 즉, 같은 출발지와 도착지 그룹(여정의 한 구간)에 해당하는 항공편들은 동일한 Group 번호를 갖게 됩니다.

예를 들어, AirCreateReservationRsp의 결과에서

  • 첫 번째 항공편이 Group 0,
  • 두 번째 항공편이 Group 1,
  • 세 번째와 네 번째 항공편이 모두 Group 2로 표시된다면,
    이는 첫 번째 항공편이 한 개의 독립된 구간(예: A → B), 두 번째 항공편이 또 다른 구간(예: B → C), 그리고 세 번째와 네 번째 항공편은 동일한 Origin/Destination 그룹(예: C → D)으로 묶여 있다는 의미입니다.
  1. Origin/Destination 그룹화:
    • 항공편이 같은 출발지와 도착지(또는 여정의 한 구간)를 공유하면 동일한 Group 번호를 받습니다.
    • 그룹 번호는 일반적으로 0부터 시작하며, 새로운 Origin/Destination 그룹이 나타날 때마다 숫자가 증가합니다.
  2. 공식 문서의 설명:
    • 공식 문서에서는 “The Origin Destination Grouping of this segment.”라고 설명되어 있으며, 이는 단순히 각 항공편이 어느 구간(Origin/Destination 그룹)에 속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    • 별도의 상세 알고리즘이나 규칙(예: 정교한 계산 방법)이 공개되어 있지는 않고,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그룹핑 방식으로 처리됩니다.

따라서, Travelport UAPI에서 Group 번호에 대한 별도의 복잡한 규칙이 있는 것이 아니라, 항공편 구간이 같은 Origin/Destination 구간에 속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내부 그룹핑 메커니즘 입니다.

예제 1

세부 설명

  1. 첫 번째 구간 (Group=”0″)
    • 첫 번째 항공편:
      • Key: UyO0UXTqWDKArhVO1AAAAA==
      • 항공편: KWI (쿠웨이트) → BAH (바레인)
      • TravelOrder: 1
      • MarriageGroup: 1
    • 두 번째 항공편:
      • Key: UyO0UXTqWDKAthVO1AAAAA==
      • 항공편: BAH (바레인) → DXB (두바이)
      • TravelOrder: 2
      • MarriageGroup: 1
    해석:
    첫 번째와 두 번째 항공편은 모두 **MarriageGroup=”1″**로 설정되어 있으며,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항공편입니다. 출발지부터 최종 목적지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여정 구간(Origin/Destination Leg)으로 취급되므로 두 세그먼트 모두 **Group=”0″**으로 할당되었습니다.
    • 여정 구간: KWI → BAH → DXB
  2. 두 번째 구간 (Group=”1″)
    • 세 번째 항공편:
      • Key: UyO0UXTqWDKAvhVO1AAAAA==
      • 항공편: DXB (두바이) → BAH (바레인)
      • TravelOrder: 3
      • MarriageGroup: 2
    • 네 번째 항공편:
      • Key: UyO0UXTqWDKAxhVO1AAAAA==
      • 항공편: BAH (바레인) → KWI (코威트)
      • TravelOrder: 4
      • MarriageGroup: 2
    해석:
    세 번째와 네 번째 항공편은 **MarriageGroup=”2″**로 함께 묶여 있으며, 출발지와 도착지가 연결되는 하나의 여정 구간을 이룹니다. 이 때문에 두 항공편은 모두 **Group=”1″**로 할당됩니다.
    • 여정 구간: DXB → BAH → KWI

요약

  • Group 0:
    • 구간: KWI → BAH → DXB
    • 항공편: 첫 번째(코웨이트 →바레인)와 두 번째(바레인→두바이) 항공편
    • 연결: MarriageGroup 1
  • Group 1:
    • 구간: DXB → BAH → KWI
    • 항공편: 세 번째(두바이→바레인)와 네 번째(바레인→코威트) 항공편
    • 연결: MarriageGroup 2

예제2

AirSegmentGroup 속성은 예약 내에서 여정(Origin/Destination) 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됩니다. 이 예제의 경우, 총 4개의 항공편 세그먼트가 있으며, 이를 3개의 여정 구간(Origin/Destination Leg)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아래는 각 세그먼트의 Group 할당에 대한 설명입니다.

  1. Group=”0″:
    • 항공편: ICN → LAS
    • 설명: 첫 번째 항공편은 전체 여정의 시작 구간으로, 인천(ICN)에서 라스베이거스(LAS)로 이동합니다. 이 단일 구간은 독립된 여정이므로 Group 번호가 0으로 할당됩니다.
  2. Group=”1″:
    • 항공편: LAS → LAX
    • 설명: 두 번째 항공편은 첫 구간과는 별개의 새로운 여정 구간으로, 라스베이거스(LAS)에서 로스앤젤레스(LAX)로 이동합니다. 따라서 새로운 그룹으로 취급되어 Group 번호가 1로 할당됩니다.
  3. Group=”2″:
    • 항공편:
      • 세 번째 항공편: LAX → HNL
      • 네 번째 항공편: HNL → ICN
    • 설명: 세 번째와 네 번째 항공편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여정 구간을 구성합니다.
      • 세 번째 항공편은 로스앤젤레스(LAX)에서 호놀룰루(HNL)로 이동하며,
      • 네 번째 항공편은 호놀룰루(HNL)에서 인천(ICN)으로 이동합니다.
      두 항공편은 연결 항공편(연계편)으로 하나의 Origin/Destination 여정(여정 구간)을 이루기 때문에 동일한 Group 번호인 2가 할당됩니다.